서울시가 2023년까지 2조7087억 원을 투입해 지하시설물 통합 안전관리에 나선다. 시는 지난해 발생한 아현동 통신구 화재, 목동 열수송관 파열, 문래동 수돗물 혼탁수 문제 등 지하시설물의 노후화·과밀화로 인한 문제 재발을 막기 위해 유관기관과 상설협의체를 구성해 통합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서울시 지하시설물 통합 안전관리대책'을 지난 25일 발표했다. 시에 따르면 서울의 지하에는 상·하수도관, 전력선, 통신선, 가스관과 지하철 같은 도시기능에 필수적인 수많은 지하시설물이 묻혀있다. 규모만 해도 총연장 5만2697km로 지구를 1.3바퀴 돌 수 있다. 문제는 지하시설물이 제각각 다른 주체가 관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땅을 파고 매설하고, 안전관리 역시 여러 기관에서 하고 있어 파악조차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해 아현동 통신구 화재와 목동 열수송관 파열, 문래동 수돗물 혼탁수 문제 등 지하시설물의 노후화·과밀화로 인한 문제 재발을 막기 위해 통합안전관리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시는 2023년까지 2조7087억 원을 투입해 지하시설물을 관리할 계획이다. 시는 ▲지하안전 통합체계 구축 ▲선제적, 체계적 안전관리 ▲스마트기술 예방시스템 개발 등 3대 분야 10개 추진과제를 시행한다. 시는 긴급상황시 서울시 행정2부시장을 위원장으로 KT,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상설 협의체를 올해 하반기 발족한다.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협의체'는 연 2회 이상 만나 안전관리 정보 공유, 합동점검 및 훈련 등 지하시설물 안전관리를 위해 협력한다.

또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서울시 관리도로를 5개 권역으로 나눠 2022년까지 5년간 1222km(178개 노선)에 대한 공동(空同)조사를 시행한다. 기존에 각 기관별로 시행했던 것을 서울시로 일원화하고, 25개 기관에서 조사비용을 분담하는 방식으로 전환한다. 지하시설물 사고로 인한 복합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관련 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합동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유사시 활용되는 '초기대응매뉴얼'은 SNS를 통한 실시간 재난상황 공유, 현장 연락관 파견 같은 구체적인 내용을 담아 보완·개선한다.

또 기존 도심에 전력구, 통신구, 상수도관을 공동 수용할 수 있는 '소형 공동구' 도입을 검토한다. 공동구는 전선, 수도관, 가스관, 전화 케이블 등을 수용하는 지하 터널을 뜻한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등으로 구성된 공동구 연구단에서 '소단면 터널식 공동구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기본 계획을 통해 경전철 사업 등과 연계한 소형공동구 도입방안을 검토한다.

아울러 노후 상·하수관로, 노후 열수송관 등 1970~1980년대 집중적으로 건설돼 노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지하시설에 2023년까지 예산 2조4699억 원을 조기 투입·정비를 추진한다. 지하 굴착공사장에서 유출되는 지하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도적·기술적 종합대책을 내년까지 수립한다. 지하개발시 지열파이프 등 파손을 예방하기 위해 관련정보도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서울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