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지중화 등 서울 지하도심 건설 주장
김제리 시의원, 일본ㆍ프랑스 등 사례 검토해야
철도 지중화 사업 등을 통해 서울도심 지하공간을 개발해 지하공간을 활용하는 신뉴딜 정책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김제리 의원(한나라당, 용산1)은 11월29일 본회의 5분발언 에서 ‘21세기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를 맞이하여 철도가 점유하고 분할해 온 도시공간에 대해 철도 지중화를 통하여 녹색문화공간으로 거듭나 시민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정부나 서울시 공히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연구 검토를 진행’할 것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도심 지하 공간의 개발은 철길로 인하여 양분되어 있는 생활공동체를 통합할 수 있고, 그 개발에 따라 무한한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으며, 현재의 경제위기에서 탈출할 수 있는 신뉴딜 정책의 숨겨진 보물이자 버려진 공간을 되살리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지하 공간은 보상비 등 각종 민원문제가 지상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는 장점도 있고 대심도 지하 개발 시 철도가 들어가는 지하공간을 복층 구조로 활용하여 상가나 테마파크 공간으로 이용한다면 새로 창출되는 공간이 훨씬 더 늘어나게 되며, 이러한 공간은 상상력을 발휘하기에 따라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아울러 현재 토목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깊이 40m 이상 대심도 지하 공간의 개발은 세계적인 추세로, 최근 일본에서 건설되고 있는 지하시설물은 깊이 40m 이상의 대심도 지하공간인 사례가 대부분이고, 특히 프랑스 파리 라데팡스는 지하공간의 개발 수준을 넘어 지하도시 개발 단계로 진입하는 곳도 있어 지하공간 개발은 서울의 도시 공간 재창조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러한 철도 대심도 지하 공간 개발은 서울시 단독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므로 서울시는 국토해양부 등 정부부처와 적극 협력해야 할 뿐만 아니라 지하 공간 개발 촉진을 위한 법과 제도적 지원책을 마련해야 하며, 과감한 민자 유치를 통해 민간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때 성공 가능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