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공천 칼날 '예외 없다'

이상득, 홍정국 의원 불출마 선언... 파장은 어디까지?

2011-12-13     부종일 기자

박근혜 전 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을 맡게 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박 전 대표의 공천권 행사의 파장이 어디까지 미칠 지에 대해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10일 박 전 대표는 친박계 의원을 통해 "당의 요구에 따라 어떤 자리와 역할이라도 맡겠다는 뜻을 갖고 있다"고 동아일보는 보도했다.

이는 그동안 박 전 대표가 보여왔던 신비주의 행보에서 벗어난 것으로 한나라당의 '구원투수'로서 전면에 나겠다는 결심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홍준표 전 대표가 막판 쇄신안을 내세우며 현역 의원과 당협위원장의 기득권을 인정하지 않고 과감하게 인재를 영입하는 공천개혁의 의지를 보였지만 당내 압박을 피할 수 없어 낙마했다.

이에 따라 박 전 대표가 홍 전 대표가 시도하려 했던 한나라당 재창당 수준의 쇄신 작업을 대신 맡게 됐다.

일부에서는 박 전 대표가 떠밀려 나오는 모양새로 인해 당내 대선주자들과의 경쟁에서 불리해 질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총선에서 패배할 경우 그 부담을 고스란히 안고 가야 하기 때문이다. 또 이로 인해 차기 대선에서 완승을 하지 못한 채로 승리를 한다 하더라도 향후 국정운영에 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내년 총선에서 공천권 행사는 박 전 대표로서는 정치생명을 걸고 나설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철저하게 기득권을 버리는 쪽으로 공천을 한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해 이상득 의원은 돌연 불출마를 선언했다. 과거 이 의원은 18대 총선 당시 제기됐던 65세 이상 고령 의원 '물갈이 원칙'을 깬 장본인이었다.

최근까지 이 의원은 공천을 받지 못하면 무소속으로라도 출마하겠다는 의지를 공공연히 밝히고 다녔다고 한다.

이 의원의 불출마 선언은 상징적으로나 실질적으로나 여권내 파괴력이 클 것으로 보인다.

공정한 공천을 이유로 친이계 뿐만 아니라 친박계에도 영향이 미치기 때문이다. 실제로 친박계의 영남권 다선∙고령 의원들이 박 전 대표의 활동 반경을 넓혀주기 위해 용퇴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초선의원들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이번 공천 칼바람에 떨어지느니 차차기 총선을 노린다는 구상이라는 분석도 있다.
 
실제 홍정욱 의원은 "지난 4년은 나에게 실망과 좌절의 연속이었다. 국가의 비전과 국민의 비전 간에 단절된 끈을 잇지 못했다"며 "이제 어울림 없는 옷을 내려놓겠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지난 4.27 재∙보궐 선거에서 구성된 비대위가 계파별 나눠먹기식으로 구성이 돼 홍역을 치른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친박계 일각에서는 조기 전당대회를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재창당 수준의 쇄신을 위해서는 박 전 대표가 전권을 쥐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친박 의원은 "비대위는 임시체제이고 선출직이 아니기 때문에 박 전 대표가 힘을 갖기 힘들다"며 "전당대회를 열어 김문수 경기도지사, 정몽준 이재오 의원 등과 경쟁한 뒤 박 전 대표가 압도적인 득표로 주도권을 쥐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설령 친박 쪽의 구상대로 정국이 흘러간다 하더라도 친이계를 비롯한 반박세력, 중도우파 성향의 인사풀이 넓지 않다는 점 등은 향후 박 전 대표가 풀어야 할 숙제다.

또한 '나를 제외한 공천개혁 찬성'이라는 한나라당 의원들의 딜레마를 어떻게 조정해 나갈지도 박근혜 비대위 체제를 바라보는 관전 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