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통' 구정, 부끄러운 노원구청장
'방사능 폐아스콘'처리 절차 '쉬쉬'
'방사능 폐아스콘' 이전 문제로 인해 지난 21일부터 노원구 주민들이 노원구청으로 찾아가 농성 중인 가운데 지난 11월29일 총리실, 지식경제부, 원자력안전위원회, 국토해양부, 교육과학기술부, 서울시, 노원구 관계자가 참석한 관계기관 회의에서 '방사능 폐아스콘'을 노원구 공릉동 소재 한전 연수원으로 옮기기로 결정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본지가 단독 입수한 지식경제부 문건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서 관계기관들은 임시보관장소 및 적치 문제를 "공릉동 한전연수원내 구원자력연구원 부지로 폐아스팔트를 이송, 방폐물 분류 작업 후 경주 방폐장내 인수저장시설로 이동키로 함"이라고 최종 결론을 내렸다.
이와 함께 지식경제부는 "우리부는 한전의 동의를 구하고, 주민 수용성 부분은 노원구가 일차 책임을 지며, 안전성 부분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설명하기로 함"이라고 향후 로드맵까지 제시했다.
결국 노원구를 포함한 정부당국이 주민들에게 '방사능 폐아스콘'처리 문제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고 쉬쉬하며 처리하려다가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히게 됐다.
특히 노원구청 측은 '방사능 폐아스콘' 이송 방침을 공개하기 하루 전인 12월20일까지 "결정된 것 없다", "안전하다" 등의 답변으로 일관해 주민들의 원성을 키웠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구청은 주민동의 절차를 거치기 위해 주민대표들과 긴급면담을 가졌는데 '친구청장' 인사 2명과 형식적인 만남을 갖고 주민들의 동의를 얻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주민대책위원회 박영숙씨는 "주민들 동의해서 실행결정했다고 하는데 아무도 동의한 사람 없다"며 오히려 "(이 사실을)아파트 주민들에게 알리려고 아파트 관리소에 방송을 내보내려고 했는데 아파트동대표 회장의 허락이 없어 방송이 나갈 수 없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주민 박찬훈씨도 "구청에서 방침을 공개하지 않아서 현수막 거는 것도 자제했다. 동네 분위기가 안 좋아질까봐"라면서 "이제 아파트값 하락 걱정은 하지 않는다. 자식들 생명과 관련된 문제이고 생존의 문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김성환 구청장은 21일 300여명의 주민들 앞에 선 자리에서 "내가 하는 게 아니다",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며 정부쪽에 책임을 돌리는 변명만 늘어놓았다.
그러다 22일 주민들이 계속 몰려들자 "이전 방침을 보류하고 구청장직을 걸고 정부와 협의하겠다"고 말을 바꿨다.
이에 따라 김 구청장의 위기관리 대응능력이 도마위에 오르게 됐다. 일부에서는 김 구청장이 '방사능 폐아스콘'을 공릉동 한전연수원으로 옮기기로 결정이 내려지도록 물밑작업을 주도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한편 현재 '방사능 폐아스콘'은 노원구청 뒤편 공영주차장(236t)과 마들체육공원 내 폐쇄 수영장(94t)에 임시 보관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