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12 / 결혼주선운동은 구국의 길이다!
이석주 결혼주선운동본부장/재건축자문위원장
세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한국은 초저출산 1위 국가로 뉴욕타임즈는 나라의 소멸을 예고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난달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저출산 대책으로 국가는 신혼부부 주거 지원, 취업 및 육아휴직 지원 조건 상향을 발표했고, 서울시는 신혼부부 전월세 자금 대출 및 저리 장기 전세주택 4,000호 건립을 약속했다. 국회도 국가비전 2050을 선포하며 대응에 나섰지만, 이러한 처방들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이다.
왜 이 지경까지 이르렀고, 그동안 무엇을 했는지 주요 실태를 보겠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혼인 건수는 1990년대 40만 건에서 2020년 30년 만에 20만 건으로 줄었다. 결혼이 필수라고 생각하는 비율도 2000년대 60%에서 최근 40%로 급락했다. 출산 관련 국가 예산도 지난 20년간 약 400조 원을 투입했지만 출산율은 1.3에서 0.72(2023년)로 오히려 반토막이 났다. 국민소득은 선진국 수준에 도달했지만, 경제성장과 개인주의 팽배 등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결혼 기피가 출산율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배고픈 부모세대는 못 살고 못 배웠어도 5~6명씩 낳아 국가 번영의 초석이 되었다. 이 분명한 과거를 냉철하게 직시하고 국가 정책이나 사회 분위기 혁신에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
남녀가 미팅을 해야 결혼을 하고 빨리 결혼해야 출산도 더 많이 할 텐데, 현재 현실은 어떠한가?
급격한 시대 문명 및 사회 변화로 결혼 적령기가 과거보다 약 10년씩 늦어졌고, 임신 가능한 여성의 감소도 저출산의 큰 원인이다. 출산이 없고 노인만 늘어나면 나라가 버틸 수 있겠는가?
저출산 대책을 국가나 공공에만 맡겨서는 큰 틀이 무너져 공멸할 뿐이다. 이제는 국민 모두가 나서 국가를 재건했던 새마을운동처럼 출산 장려 운동이 전국에서 불처럼 일어나야 이 나라가 다시 살 수 있다.
본인은 2015년부터 결혼 주선 운동을 시작했고, 본격적으로는 2년째 진행 중이다. 현재 결혼 대상자는 500여 명으로 늘었고, 혼인을 위한 주선 PM도 15명이 활동하며 그동안 8커플을 탄생시켰다.
이 운동을 하면서 가장 어려운 3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총각 노처녀를 주 대상으로 하다 보니 그들은 많은 미팅 경험으로 상대방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 단기 미팅으로 끝나버린다.
둘째, 사회나 국가가 요구하는 인구 감소 문제에는 관심이 없고, 취업, 육아, 주거 문제를 앞세운 독신주의가 팽배해 결혼과 출산을 기피한다.
셋째, 공공 지원 없이 장기간 다수의 PM들이 봉사 정신으로 주선 운동을 하다 보니 경제적 어려움이 크다.
일부 국민은 저출산 대응으로 외국인 이민 확대를 언급하지만, 그들이 돈을 벌면 이 나라에 재투자하고, 남북이 대치된 국방을 지켜줄까?
그들이 정치와 사회를 장악하면 우리 자손은 그들의 하수인이 될 수 있다.
결국, 조상에게 물려받은 삼천리 금수강산을 우리 힘으로 지키고 자손을 낳아 번영시키는 것이 국민의 도리이자 책임이다. 그래서 지금 진행 중인 결혼 주선 운동은 구국의 길임이 명확하다. 다 함께 협조하여 굳세게 전진하기를 다짐하고 염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