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향숙 강남구의원, GBC 설계변경에 따른 주민 피해 대책 마련 촉구
이향숙 강남구의원(삼성1·2동, 대치2동, 경제도시위원회 소속)이 지난 7일 강남구의회 본회의를 통해 GBC(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설 계획 변경으로 인해 발생한 주민 피해를 지적하며, 강남구가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GBC는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라 강남구의 경제 활성화와 미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인프라”라며, “그러나 현대차그룹의 건설 계획 변경으로 인해 주민들의 기대와 신뢰가 무너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피해가 심각하다”고 우려했다.
2014년 현대차그룹은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를 매입하며 ‘GBC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2016년, 지상 105층(561m) 규모의 업무시설과 호텔, 전시·컨벤션 시설, 공연장 등을 포함한 대규모 복합단지를 조성하기로 서울시와 협의했다. 이를 위해 사업지 용도를 제3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상향하고, 용적률을 800%까지 완화하는 인센티브도 제공받았다.
그러나 2020년 5월 착공 이후 현대차그룹은 공사비 급등을 이유로 2024년 2월, 105층 1개동에서 55층 2개동으로 설계를 변경하겠다는 제안서를 서울시에 제출했다. 이에 서울시는 인허가 문제를 이유로 제동을 걸었고,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7월 개발 계획 변경서를 철회했다. 하지만 불과 7개월 만에 또다시 54층 3개동으로 설계를 변경한 계획서를 제출하면서 사업의 방향이 계속 흔들리고 있다.
이 의원은 “105층 GBC는 강남구의 미래를 상징하는 초고층 건물이자, 경제와 인프라 발전의 중심축이 될 중요한 프로젝트였다”며 “그러나 갑작스러운 계획 변경은 주민들의 기대와는 정반대의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며, 강남구가 꿈꾸던 발전 기회를 위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변경 과정에서 주민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이 의원은 “오죽 답답했으면 주민들이 직접 나서 탄원서를 제출하고, 주민결의대회를 열었겠냐”며 “GBC 설계변경은 현대차그룹과 서울시만의 문제가 아니라, 강남구민의 삶의 질과 지역 발전을 결정짓는 중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강남구가 적극적으로 나서 주민 피해를 조사하고, 보상 대책을 마련하며, 향후 협상 과정에 주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GBC 축소 건설로 인한 주민 피해를 해결하기 위해 세 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먼저, 피해 실태 조사 연구용역 추진을 요청했다. 그는 GBC 규모 축소로 인해 발생한 주민 피해를 신속히 조사하고, 정확한 피해 현황을 파악해야 한다며, 설문조사와 공개 토론회를 통해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것을 제안했다.
이어,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피해 조사가 완료되면, 구체적인 보상 기준과 절차를 마련해 주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며, 향후 대형 개발사업 진행 시 주민 의견 반영을 의무화하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협상조정협의회’에 강남구와 주민 대표의 참여 보장을 요구했다. 이 의원은 GBC 설계변경 과정에서 주민들이 의견 수렴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불만이 크다며, 서울시, 현대차그룹, 강남구, 주민 대표가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상시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이번 사안을 계기로 주민 권익 보호와 공공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강남구는 지금 중요한 전환점에 서 있다"며, "105층으로 계획된 GBC는 우리 구의 미래를 위한 핵심 인프라이자, 주민 모두가 누려야 할 발전의 열쇠"라고 말했다.
그는 “GBC 설계변경으로 인해 주민들은 불투명한 미래와 생활 불편을 겪고 있다”며, “강남구가 주민 피해 해결을 위한 구체적 대책을 마련하고, 신뢰 회복을 위해 앞장서 주길 강력히 요청한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