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연희 강남구청장의 국장 겸직발령으로 인해 제207회 강남구의회 제2차 정례회가 난항을 겪고 있다.

현재 강남구의회는 행정재경위원회, 복지건설위원회 등 2개 위원회를 중심으로 강남구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와 각 상임위원회 별로 예산안 예비심사를 벌이고 있다.

행정재경위원회의 경우 행정국, 공보실, 기획경제국, 보건소 업무를, 복지건설위원회의 경우 복지문화국, 도시환경국, 교통안전국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김상주 국장이 행정국장과 복지문화국장을 겸직하면서 행정재경위원회와 복지건설위원회 양쪽에 '왔다갔다' 하면서 대 의회 업무에 내실화를 기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김 국장의 이러한 행보가 구의회의 의사진행과 내용면에서 직간접적으로 부담을 줘 지난달 16일부터 28일로 실시된 강남구의회 제2차 정례회 행정사무감사가 파행을 겪었으며, 지난 12월2일부터 진행되고 있는 예산안 예비심사도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복수의 구의회 관계자는 "김 국장이 양쪽을 겸하고 있어서 원만한 회의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원래 행정국장직에는 김호연 현 강남문화재단 상임이사가 근무하고 있었다. 그러나 금년 말 공로연수 대상이었던 김호연 전 행정국장이 강남문화재단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강남구 행정국장 자리가 공석으로 됐다.

이러한 인사조치는 신 구청장이 과거 서울시와 강남구청에서 측근이었던 김씨에게 사실상 일자리를 2년 늘려주는 것으로 신 구청장의 배려로 가능했다는 후문이다.

또한 현재 행정국장에 임명될 수 있는 4급 공무원이 2명(이덕하, 정찬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정국장직을 겸직으로 두고 있는 것에 신 구청장이 의회파행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다시 말해 의사일정 진행상으로나 내실화면으로나 파행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미리 적절한 인사조치를 취하지 않아 도의적 책임을 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주민들로부터 견제 및 감시 기능을 넘겨 받은 구의회의 집행부 견제 기능이 강남구청의 인사파행으로 무력화 위기에 직면한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는 형편이다.

강남구의 한 주민은 "신 구청장이 인사조치를 제때에 취하지 않고 의회에 부담을 주는 것은 직무유기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