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자치신문 칼럼니스트, 장애인신문사 논설위원   이병호
서울자치신문 칼럼니스트, 장애인신문사 논설위원 이병호

오래전부터 유럽 및 복지 선진국에서는 장애인의 건강과 활력있는 생활을 위하여 스포츠 활동 및 생활체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자각하여 장애인 체육에 대한 많은 연구와 정책이 추진되어 왔으며, 특히 디아코니즘에 입각한 독일의 장애인체육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학교 체육뿐만 아니라 교회, 지역사회 체육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장애인 복지의 목표인 사회통합의 밑걸음이 되고 있다.

장애인들이 생활체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특수체육을 중심으로 비장애인의 부속행사 의미가 더 크다할 수 있다. 장애인에게 있어서 체육이란 삶의 의미 그자체일 수 있다. 비장애인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 모든 사회 문화 생활속에서 스포츠에서만은 자신이 주인공이 되고 그들만의 천국인 것이다. 마라톤과 수영 등에서 장애를 극복하고 세계올림픽에서 메달를 획득하여 환호하는 장애인을 볼수 있다. 그들의 삶의 의미는 운동이외 것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한 국가의 장애인들이 체육활동을 통해 자신의 삶을 얼마나 온전히 영위하고 완성하는가는, 그 사회의 선진수준을 재는 중요한 척도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 선진 경제대국으로 진입하면서 250만 장애인들의 사회적 욕구에도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다. 메슬로우의 욕구 단계에서 생리적, 안전욕구는 이미 넘어서 사회참여와 자기실현욕구의 진입 단계에 와있다 할 수 있다. 최근 장애인들에게도 스포츠가 대중화 되면서 생활체육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현저히 증가되고 있다.

장애를 가진사람은 일반적으로 신체적인 발달 및 체력과 건강면에서 뒤떨어진다. 아직 많은 사람들에게 장애인이 체육을 한다는 것은 생소하게 들릴 수 있으나, 체육활동을 하는 장애인들에게는 외부에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크고 절실하다고 말할 수 있다. 장애인들의 신체적 건강의 저하원인을 살펴보면 그들의 생활환경, 경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조건 등에 의하여 건강증진의 기회를 충분히 보장시켜 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생활체육을 통하여 보다 많은 신체활동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서 장애인의 신체적, 심리적, 형태적, 기능적인 발달증진을 도모하여 장애인의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지난 8월 17일 대한장애인체육회 이천선수촌을 방문하여 박종철 이천선수촌장에게 도쿄패럴림픽 참가 현황을 보고받은 후 휠체어 농구, 보치아, 배드민턴, 수영, 역도, 사격, 양궁, 탁구 훈련장을 찾아 선수들을 격려했다. 황희 장관은 " 선수들의 안전을 위해 유관기관과 함께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며 "모든 선수단 관계자들도 출전 선수단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번 패럴림픽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편협한 시선과 인식들이 서울장애인올림픽부터 제 자리를 잡는 등 많은 인식 개선의 전기가 됐음을 우리 모두는 잘 알고 있다. 앞으로는 엘리트 체육과 더불어 전국의 250만 장애인들이 피부에 와 닿는 더욱 발전해 나가는 뉴노멀 장애인 체육의 미래를 위해 다같이 힘을 모아 의미있는 전진이 계속되기 위해 노력한다” 는 향후 장애인체육회 격려 지원 방문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맨트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서울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