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수 57억 원 감소불구 서울신문 등 일부신문 구독예산 ‘증편’
주간∙순간∙인터넷판 신문 운영여부 '불문', 주먹구구식 예산집행
강남구청(구청장 신연희) 공보실이 2012년도 세입∙세출 예산안을 편성하면서 일정한 원칙이나 기준 없이 예산을 편성해 논란이 일고 있다.
실제로 강남구청 공보실은 강남구의 새해 예산이 금년도 최종예산 대비 57억 원이 감소해 대부분의 부서에서 전체적으로 예산을 감액 편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신문 등 일부신문 구독예산을 증액 편성했다.
서울신문의 경우 올해보다 2백부 늘어난 2553부 구독예산으로 4억5천9백5십4만원을 편성했으며, 강남 지역신문 중 가장 늦게 창간된 A신문의 구독예산을 50% 증액 편성해 의회에 승인을 요청했다.
강남구의 서울신문 구독부수는 2010년의 경우 3053부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평균 구독부수 1561부의 약 2배가량을 구독함으로써 서울시내 25개 구청 중 가장 많은 5억4,954만 원의 주민혈세를 낭비해 왔다.
그리고 광역주간지 B신문의 경우 지난해에 800부를 구독해 서울시 25개자치구 평균 226부의 3.5배 이상을 구독했으며, 금년에도 타 자치구의 3배 이상을 구독하고 있어 일부에서 공보실과 해당 언론사간의 유착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강남의 지역신문을 구독함에 있어서도 주 1회 발행되는 ‘주간신문’과 10일에 한번 꼴로 발행되는 ‘순간신문’간의 차이를 간과하고 있다. C신문의 경우 지난 14개월 동안 51회를 발행했으며, D신문은 32회를, E신문 42회를 같은 기간 동안에 각각 발행했다.
결국 D신문은 C신문의 62.7% 정도만을 발행하고 있음에도 구독부수와 구독료를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이 접속되는 곳이면 언제 어디서나 기사 등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인터넷판 지역신문 운영 여부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구독부수와 구독료를 적용해 공보실이 주먹구구식으로 안일하게 주민 혈세를 집행하고 있다.
한편 강남구의회 행정재경위원회는 지난 6일 열린 회의에서 강남구청이 제출한 서울신문 구독부수를 553부 삭감하는 내용의 의견서를 첨부해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넘겼으며, 12일 열린 예결특위에서도 소관상임위원회의 의견을 존중해 서울신문 구독부수를 553부 삭감한 2,000부 구독으로 의결했다.
그러나 강남구청 공보실이 이 같은 의회의 결정에 동의 할지는 미지수여서 오는 14일로 예정된 계수조정에서 의원들이 당초 소신을 지켜나갈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