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사년 정월대보름 달맞이 행사로 사라져가는 세시풍속을 되살리고 시민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합니다”

 정월은 한 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안동시(시장 권영세)에서는 계사년 한해 풍년농사와 시민의 무사안녕을 기원하고 달집태우기 등 세시풍속을 재현함으로써 한해의 액운을 몰아내고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는 정월대보름 달맞이 행사가 2월 24일 낙동강변 둔치에서 시민, 관광객이 함께 참여한 가운데 다채로운 민속프로그램으로 펼쳐진다.
  안동시가 주최하고 안동문화원, 민예총안동지부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지신밟기, 윷놀이대회, 팔씨름대회, 연날리기, 쥐불놀이 등 다양한 민속놀이가 펼쳐진다. 또 오곡밥, 약밥, 안동식혜, 부럼깨기 등의 전통음식체험, 농특산물 무료시식코너, 달집태우기, 소원쓰기, 기싸움, 농심줄꼬기 등 15종의 다양한 민속놀이 행사도 마련된다. 특히 금년에는 안동지방에 널리 알려진 풍년기원 타작놀이가 처음으로 재현된다.
 풍농을 기원하는 지신밟기가 오후 1시 30분부터 열려 흥과 축원을 기원하는 가운데, 2시부터 행사장에서 읍면동 주민들이 참여하는 윷놀이와 팔씨름 대회, 한해의 재액을 멀리 날려 보내는 연날리기 대회가 행사장의 흥을 돋운다.

  달집 태우기

  특히 아이들의 동심놀이인 팽이치기, 제기차기, 쥐불놀이 등 전통 민속놀이 체험과, 떡메치기, 오곡밥, 부럼깨기, 귀밝이술 등 전통보름음식 체험, 농·특산물 홍보를 위한 무료시식코너 운영, 시민들의 소망을 담은 소원쓰기 코너가 행사장 곳곳에 마련 정월 세시풍속의 분위기를 자아낸다.
 오후 6시부터 시작되는 ‘달집 태우기’는 풍물공연과 통기타 가수 김이난의 가요공연에 이어 옛날 짚이나 솔가지 등을 모아놓고 보름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려 달집을 태우며 피어오르는 연기와 더불어 달을 맞이했던 풍속을 재현한다. 보름달이 떠오르는 시각에 맞춰 참석한 모든 이들의 소망을 담아 기원제를 올리고 한해의 액운이 사라진다는 달집태우기, 소지올리기, 풍등띄우기 행사로 대보름행사가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정월 대보름에는 집집마다 약밥을 만들어 먹고, 저녁에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 달맞이를 했다. 또한 그 해의 새싹이 잘 자라고 전답의 해충이 소멸되라고 쥐불을 놓기도 했다. 또한 보름 날에는 찹쌀 좁쌀 차조 콩 찰수수 등 다섯 가지의 곡식을 섞어 지은 밥에다 시래기 가지 호박고지 등 묵은 나물을 삶아서 기름에 볶아 먹기도 하며 부럼을 깨고 귀밝이술을 마셨다. 대나무를 양손에 쥐고 마을사람들끼리 기싸움을 벌여 그 해 더위를 물리치기를 소망하기도 했다.
  소원지 붙이기

 또, 짚이나 솔가지 등으로 달집을 만들어 놓고 보름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려 달집을 태우며 피어오르는 연기와 더불어 달을 맞이하는 풍습이 있어 이를 재현한다.
  대나무로 기싸움을 벌여 그해 더위를 물리치기를 소망한다

 이번 행사에는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그동안 쉽게 접하지 못한  전통 민속놀이인 연날리기, 쥐불놀이 등의 체험활동과 부스럼 깨기, 귀밝이 등 전통 보름음식 체험 등 운영부스를 많이 설치하여 손쉽게 대보름 세시풍속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윷놀이

 안동시에서는 이를 계기로 전통 미풍양속을 전승보존하고 계승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조상들의 지혜와 자긍심, 향토사랑의 시민정신을 함양하여 시민의 대동화합과 지역 분위기를 일신하여 행복 안동을 만드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정월은 한 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그 해를 설계하고, 일 년의 운세를 점쳐 보는 달이다. ‘대보름’의 달빛은 어둠, 질병, 재액을 밀어 내는 밝음의 상징이므로, 이날 마을의 수호신에게 온 마을 사람들이 질병, 재앙으로부터 풀려나 농사가 잘되고 고기가 잘 잡히게 하는 ‘동제’를 지냈다.
정월 대보름에는 부럼 깨물기, 더위팔기, 귀밝이술 마시기, 시절 음식인 복쌈이나 묵은 나물을 먹기, 오곡밥이나 약밥, 달떡 먹기 등을 하였다. 또 설날이 가족 또는 집안의 명절인데 비해 정월 대보름은 마을의 명절로, 온동네 사람들이 함께 줄다리기·다리밟기·고싸움·돌싸움·쥐불놀이·탈놀이·별신굿 등 집단의 이익을 위한 행사를 했다.

 

저작권자 © 서울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