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는 서울교육청이 제출한 영훈국제중학교 관련 자료를 분석해 사회적 배려 대상자의 악용 사례를 지적했다. 또한 서울시교육청 출신 공무원이 영훈 재단에서 요직을 맡는 것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 특별감사를 요청했다.
최근 3년 간 영훈국제중학교의 비경제적배려대상자 입학자 현황을 보면, 2011∼2012학년도에는 장애인 1명, 2012학년도에는 아동복지시설에서 1명을 뽑았다. 그러나 2013학년도에는 장애인이나 아동복지시설에서 뽑은 학생은 전혀 없고, 다문화가정 2명, 한부모가정 4명, 다자녀가정 9명, 경찰관 자녀 1명 등 거의 사회적 배려 대상자라고 보기 어려운 학생들만 선발했다.
이들 학부모의 직업군은 2011년에는 의사 1명, 회사원 5명, 사업운영 3명, 기타 7명이었다. 2012년에는 공무원 1명, 회사원 9명, 사업운영 3명, 기타 3명이었다. 2013년에는 사업운영 3명, 의사 2명, 변호사 1명, 회사원 2명, 종교인 1명(이상 다자녀가정), 사업가 1명 등 한부모가정 4명, 다문화가정 2명, 경찰관 자녀 1명 등이었다.
이에 김형태 의원은 2013년 2월 26일, 문용린 교육감에게 “사배자 입학자 현황을 보면, 사배자 전형 취지를 악용해 진짜 사배자의 취지에 맞는 학생들이 뽑혔는지 공정성이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서울교육청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아들이 사회적배려대상자(사배자) 전형으로 합격해 논란이 일었던 서울 영훈국제중학교에 대해 특별감사를 하기로 했다.
조승현 서울시교육청 감사관은 27일 열린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감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은 영훈국제중뿐 아니라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등 영훈재단의 모든 학교에 대한 감사를 벌일지는 추후 결정할 방침이다.
앞서 김형태 의원은 “교육청 출신 공무원이 영훈재단에 5명이나 가 있고 일부 직원은 명예퇴직한 다음 날 행정실장으로 채용되는 등 교육청과 재단의 유착관계가 심각하다"며 감사를 요청했다.
서울시의회, “사학 사배자 전형 지침 바꿔야”
서울교육청, “영훈국제중 특별감사 하겠다”
- 기자명 김소근 기자
- 입력 2013.03.04 19:15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