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올 1월부터 필수예방접종비용 국가부담사업 행위비 지원사업에 따른 일부 본인부담금(5,000원)을 전액 시비로 지원하기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2012년 질병관리본부 행위비 지원사업은 본인부담금 1,5000원 중 10,000을 국가(국비30%, 시비35%, 구비35%)가 부담하고 나머지 5,000원을 본인이 부담하도록 했다.
이에 시는 저출산 시대 양육비 부담을 완화하고 접종률 향상을 도모하고자 일부 본인부담금 5000원을 전액 시비로 지원한다.
시는 주민편의 및 접종률 향상을 위해 인근 광역단체와 협약을 체결하여 필수예방접종을 지역 구분 없이 보건소나 위탁의료기관에서 무료접종을 받을 수 있게 했다.
그동안 지역제한이 있던 서울∙경기∙인천 지역의 인접 주민과 실제 거주지가 다른 주민의 편의 및 접종률 향상을 위해 지난 29일 필수예방접종을 지역 상호간 무료접종을 할 수 있도록 협약을 체결했다. 보건소 위탁의료기관은 거주지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면 알 수 있다.
또한 3개 광역단체는 보건소 무료접종 뿐만 아니라 위탁 의료기관에서도 무료접종을 받을 수 있으며, 예방접종 의료기관에서 거주지 보건소로 비용을 청구하면 심사 후 비용을 상환하게 된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만12세 이하 영유아∙아동은 필수예방접종을 거주지와 상관없이 접종할 수 있게 되어 접종률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접종대상은 서울∙경기∙인천 1,614,716명(5,207,732건)에 이르며, 위탁 의료기관 수는 3,444개소로 의료기관 선택권을 높여 예방접종과 건강관리를 병행 할 수 있도록 했다.
2011년 11월말 기준 지역별 필수예방접종률은 서울(89%), 경기(90%), 인천(92%)이며 감염병 퇴치기준인 95%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는 2012년 1월부터 시행하는 필수예방접종 무료화 사업을 차질 없이 시행하여 시민 건강보호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