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연벨은 무선벨·금연안내 방송장치·무선제어기·고유코드번호 등으로 시스템이 구성됐으며 구청 직원들이 간접흡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모아 직접 개발해 특허 출원도 했다.
금연벨을 누르면 “여기는 금연구역입니다. 금연구역에서 흡연 시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건강을 위해 금연해 주세요”라는 음성이 3번 반복해서 나온다.
또한 무선벨을 누르면 장소를 인식하는 고유코드번호가 단속요원의 단말기로 바로 전송돼 흡연자 단속에도 용이할 것으로 구 관계자는 내다봤다. 아울러 금연안내 방송장치와 무선벨은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설치돼 있어 버튼을 누르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구는 금연벨의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구로기계공구상가 내 화장실 5곳에 시범 설치해 운영했다. 상가 상인들에 따르면 “얼굴을 보지 않고 금연구역이라는 것을 알릴 수 있어 매우 만족한다”고 말했으며, 구 관계자는 “금연벨 설치 이후 흡연자 비율이 11%에서 0.9%로 줄었다”고 말했다.
앞으로 구는 올해 금연구역으로 지정된바 있는 고척근린공원 일대에 금연벨을 2월중에 3대 추가 설치하고 상반기 안으로 구로역, 신도림역, 오류역 광장에도 설치할 계획이다.
구 관계자는 “흡연으로 인해 남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발생 되지 않도록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삼가주길 바란다”며 “금연벨을 설치했지만 구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로 벨이 울리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