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 뮤지컬 '여기, 피화당'포스터 | 제공 = ㈜홍컴퍼니
이미지 = 뮤지컬 '여기, 피화당'포스터 | 제공 = ㈜홍컴퍼니

공연전문제작사 ㈜홍컴퍼니(프로듀서 홍승희)가 2024년 2월 초연을 앞둔 신작 뮤지컬 <여기, 피화당>의 포스터를 공개하며 공연을 알렸다.

뮤지컬 <여기, 피화당>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주최하는 ‘2023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신작’ 선정작으로, 새로운 소재에 대한 탐색과 음악적 완성도를 인정받은 작품이다. 17세기 조선을 배경으로 하는 뮤지컬 <여기, 피화당>은 병자호란 이후 창작된 것으로 알려진 작자미상의 고전소설 ‘박씨전’에서 모티프를 얻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영웅소설 ‘박씨전’의 작가에 대한 상상에서 시작된 뮤지컬 <여기, 피화당>은 가장 약한 이들이 연대하여 써내려가는 이야기로 전하는 가슴 울리는 감동을 담아내었다.

17세기 조선, 병자호란이 끝나고 청나라에 끌려갔다 돌아왔지만 정절을 잃었다며 집안에서 쫓겨난 세 여자 ‘가은비’, ‘매화’, 그리고 ‘계화’는 ‘피화당’이라고 이름 지은 동굴에 숨어 살며 생계를 위해 이야기를 쓰기 시작한다. 익명의 작가가 쓴 이야기는 저잣거리에서 큰 인기를 얻고, 선비 ‘후량’은 이름 없는 작가 선생에게 자신의 글을 의뢰하기로 결심하고 작가를 찾아 나선다. 작가 ‘가은비’로부터 시작된 글은 작지만 멀리 퍼져 나가는 어두운 동굴 속 촛불처럼 세 여성들이 함께 마음을 담아 쓰는 이야기로 확장되어 2024년,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희망의 목소리를 따뜻하게 전한다.

극 중 피화당 여인들이 쓰는 이야기이자 고전 소설인 ‘박씨전’의 뮤지컬적인 재해석 역시 뮤지컬 <여기, 피화당>의 관람 포인트다. 정확한 창작 시기와 작가는 알려져 있지 않은 ‘박씨전’은 교과서에서 한 번쯤 접했을 고전 소설로, 병자호란 이후 창작되어 백성들에게는 비범한 인물이 나라를 구하는 영웅 이야기로 패전의 아픔을 위로해주었고, 여성들에게는 최초의 여성 영웅의 모습을 통해 당대 남성 중심 사회를 통쾌하게 꼬집어 준 작품이었다. 뮤지컬 <여기, 피화당>은 단순한 고전의 재연에서 벗어나 뮤지컬적 판타지성을 더한 극중극의 형식을 빌림으로써 ‘박씨전’을 극 중 가은비가 쓰는 이야기 중 하나로 선보여 보는 재미를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잔인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무너지지 않는 ‘박씨전’의 희망을 작지만 단단한 반짝임으로 전달할 것이다.

뮤지컬 <여기, 피화당>은 뮤지컬 <라흐 헤스트>, <인사이드 윌리엄>, <빠리빵집> 등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극작가이자 삶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으로 섬세하고 세련된 이야기를 선보여 온 김한솔 작가와 따뜻하고 유쾌한 음악세계를 구축하는 김진희 작곡가가 의기투합했다. 뮤지컬 <윌리엄과 윌리엄의 윌리엄들>과 연극 <프론티어 트릴로지>, <사이레니아> 등 마음을 움직이는 서사에 대한 통찰이 돋보이는 연출을 보여준 김은 연출이 함께한다.

대본과 가사를 쓴 김한솔 작가는 “참담한 처지에 놓인 여성들의 이야기에 마음이 아팠고, 이런 아픔의 역사가 지금까지도 반복되고 있다고 느꼈습니다. 뮤지컬 <여기, 피화당>을 통해 인물들 앞에 놓인 변함없는 현실에도, 혼자가 아닌 서로의 손을 잡고 찬란한 빛을 향해 함께 나아가는 이야기를 전하고 싶었습니다.” 라며 작품의 의도를 전했다. 음악을 작곡한 김진희 작곡가는 “작품의 배경에 따라 국악적인 느낌을 가미한 대중적인 음악을 쓰려고 했습니다.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서사적으로 강렬해지기 때문에 음악 역시 극대화되어 갈 것입니다.” 라고 전하며, 작품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높였다.

2024년 봄을 맞이하는 2월, 새로운 계절을 맞이하는 희망과 연대를 전할 뮤지컬 <여기, 피화당>은 2월 7일부터 4월 14일까지 플러스씨어터에서 공연된다.

저작권자 © 서울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