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구의회 노애자 의원(행정안전위원회)은 4월 22일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자전거의 날’을 맞아 자전거도로의 실질적 이용률과 안전성을 문제 삼으며, 강남구 내 비효율적 자전거전용도로의 재정비를 강력히 촉구했다.
노 의원은 “정부는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법과 정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안전 확보 없는 인프라 확대는 실효성이 없다”며 “강남구 역시 자전거 사고가 증가하는 만큼 현실에 맞는 자전거도로 운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강남구민회관 건너편 120m 구간의 자전거전용도로를 사례로 들며, 해당 구간의 ▲극히 낮은 이용률 ▲지속적인 주민 민원 ▲시내버스 회차장과의 중첩 등 구조적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노 의원은 특히 강남구민회관 건너편 약 120m 길이의 자전거전용도로를 대표적인 비효율 사례로 지목하며, 실질적인 이용이 거의 없는 도로가 오히려 주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해당 도로는 4433번 시내버스의 회차 지점과 맞물려 있는 위치로, 하루 평균 122회에 달하는 버스 운행으로 인해 항상 2~3대 이상의 버스가 정차해 있고, 때로는 4대까지 동시에 주차되어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 버스 기사들이 자전거전용도로를 휴식 공간으로 활용하는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어, 자전거 이용자가 물리적으로 이 공간을 통과하기 어려운 구조라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좁은 공간에 대형 버스가 상시 정차해 있는 환경은 자전거 이용자들에게 심리적인 불안감을 조성해 자전거 이용을 기피하게 만들고 있으며, 실제로 이 구간에서 자전거를 타는 사람은 거의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시내버스 정류장과 회차장이 불과 50미터 이내에 위치해 있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보행자와 자전거, 차량 간의 동선이 얽히며 항상 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위험 구간이라는 점도 짚었다.
노 의원은 “해당 구간의 자전거전용도로는 설치 당시부터 실효성보다는 형식적 판단에 따라 시범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며 “서울시가 제공한 일일 평균 이용량 370대라는 통계는 실제 현장과 맞지 않는 전형적인 행정편의주의”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속적으로 민원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서울시가 단순 네트워크 연결을 이유로 현장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며 “실제 사용되지 않는 전용도로는 과감히 철거하고, 자전거겸용도로로 전환해 사람과 자전거, 차량이 공존할 수 있는 안전한 도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노 의원은 “작은 민원이라도 무겁게 받아들여야 진정한 주민 중심 행정이 될 수 있다”며, 현장 중심의 재정비 대책 마련을 강남구청 집행부에 강력히 요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