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가올 여름, 극단 신세계는 연극 <하미 2025>를 2025년 7월 5일부터 7월 13일까지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에서 선보인다. 이 작품은 ‘베트남 전쟁 종전 50주년’을 기념하며 베트남으로 떠난 ‘평화여행단’의 여행기를 그리며 ‘베트남 전쟁 시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 사건’을 조명한다. 2024년 11월 초연 당시, 전쟁과 동시대를 잇는 날카로운 질문들과 뛰어난 앙상블로 관객과 평단의 호평을 받았으며 새롭게 선보일 연극 <하미 2025>는 새로운 인물과 드라마를 보강해 돌아왔다는 점에서 기대할 만하다.
연극 <하미 2025>는 객석과 무대의 경계를 넘어 관객들에게 베트남 현지에 있는 것과 같은 감각을 선사한다. ‘경기도 다낭시’라 불릴 정도로 한국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는 현재의 관광지, 그리고 과거 민간인 학살이 일어났던 학살지를 종횡무진 넘나들며 펼쳐지는 평화여행단의 여행기는 극장의 시공간을 무한히 확장하는 연극적 경험을 제공한다. 창작진들의 실제 ‘베트남 평화기행’ 현장 리서치를 기반으로 4년간의 스터디 과정을 통해 창작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라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지구 한쪽에선 전쟁을 하는데 지구 한쪽에선 여행을 하는 지금 이 시대. 우리는 과연 전쟁과 무관할까? 그동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을 화면 너머에서 소비하던 우리는 지난 12월, 결국 대한민국 도심 한복판에서도 총을 든 군인들을 마주했다. 연극 <하미 2025>는 단군 신화보다 낯선 베트남 전쟁을 통해 겉으로는 평화를 말하지만, 실은 모순과 위선으로 가득한 우리를 신랄하게 비판한다. 베트남 전쟁의 전쟁특수를 기반으로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루어 낸, 세계 유일 분단국가 대한민국에 살고 있지만 정작 ‘가해자의 자리’에 서기는 두려워하는 우리의 태도를 마주할 절호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연극 <하미 2025>는 새정부의 새대통령이 해결해야 할 또 하나의 과제일 것이다.

극단 신세계는 대학로에서 공동창작을 기반으로 창작하는 대표적인 집단으로 이 시대가 불편해하는 진실들을, 공연을 통해 자유롭게 하겠다는 모토를 갖고 동시대의 문제를 사유해 왔다. 극단 신세계는 제8회 이데일리 문화대상 ‘연극부문 최우수상’과 제54회 동아연극상 ‘새개념연극상’을 수상했으며 제42회 서울연극제에서 ‘대상’을, 제55회, 제60회 백상예술대상 ‘젊은연극상’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했다. 또한 2021년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올해의 연극 베스트3’와 월간 한국연극 ‘2021 공연 베스트7’에 선정됐으며, 2025년 재공연되는 <하미>는 제61회 동아연극상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했다.
연극 <하미 2025>는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활동지원 선정작으로, 한베평화재단의 협력과 함께 7월 5일부터 7월 13일까지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에서 공연된다. 이번 공연은 고민지, 김보경, 김언이, 박미르, 이강호, 이시래, 장우영, 하민욱, 하재성, 한지혜, 황예원을 비롯한 초연 배우들의 밀도높은 앙상블에 더해 오랜 시간 매체와 연극무대를 넘나들며 연기파 배우로 자리매김한 강진휘, 김민선, 성노진 배우가 합류해 극의 완성도를 높인다. 예매는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과 NOL티켓(구 인터파크티켓)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다양한 관객과 함께하기 위해 ▲자막해설(자막판을 통해 전 회차 송출), ▲음성소개(공연관람 전 극단 신세계 SNS 및 예매자 개별 안내), ▲점자대본, 사전 대본열람(공연 전 점자대본, 종이 대본 열람), ▲이동지원(혜화역 2번 출구에서 공연장 내까지, 사전예약 공연 1일 전까지), ▲휠체어석 운영(관람 문의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고객센터 02-3668-0007), ▲실시간 문자통역(7/10(목), 7/12(토) 관객과의 대화 시 진행)등 접근성 제공사항을 전 회차 진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