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 창작지원 쇼케이스 ‘데뷔를 대비하라’ 포스터 Ι 제공 :: ㈜HJ컬쳐
2025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 창작지원 쇼케이스 ‘데뷔를 대비하라’ 포스터 Ι 제공 :: ㈜HJ컬쳐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조현래)이 주최하고 ㈜에이치제이컬쳐(대표 한승원)와 서경대학교 SKU 아트컴퍼니씨어터(대표 송용진)가 주관하는 ‘2025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 창작지원 쇼케이스 – 데뷔를 대비하라’가 오는 11월 14일(금)부터 15일(토)까지 CKL스테이지에서 개최된다. 이번 쇼케이스는 약 7개월간 진행된 창작 멘토링 프로그램의 결실로, 공연 예술계를 이끌 차세대 창작자들이 직접 쓴 작품을 통해 창작의 첫걸음을 내디딘다.

‘데뷔를 대비하라’는 공연예술계 신진 창작자들을 발굴하고 이들의 실질적인 무대 경험을 지원하기 위한 창작 인재 육성 프로젝트다. 연극과 뮤지컬을 아우르는 총 10편의 신작이 리딩과 피칭 형태로 선보이며, 각기 다른 상상력과 감성이 어우러진 창작 무대를 관객들에게 생생하게 전달한다.

이번 쇼케이스는 리딩 공연과 피칭 공연으로 구성된다. 11월 14일(금)에는 연극 〈방화〉, 뮤지컬 〈리버티〉, 〈락, 카프카(Rock, Kafka)〉가 리딩 공연으로, 연극 〈그 섬은 아직 그곳에 있다〉가 피칭 형태로 무대에 오른다.
조용진 작가의 연극 〈방화〉는 경찰서 화재 사건의 유가족들이 경찰서를 방화하기 위해 모이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릴 예정이다.
윤태근 작가와 김기원 작곡가의 뮤지컬 〈리버티〉(연출 송유택)는 리버티 공원 인턴으로 근무하게 된 엠마가 자유의 여신상 ‘횃불지기’ 벤과 만나 서로의 상처를 마주하며 성장하는 과정을 그린 휴먼 드라마로, 희망과 용서의 메시지를 전한다.
박신영 작가와 김선경 작곡가의 뮤지컬 〈락, 카프카(Rock, Kafka)〉는 죽음을 앞둔 작가 프란츠 카프카가 마지막 문장을 써 내려가는 고통스러운 내면의 순간을 그리며, 배우 주민진·임찬민·김도현이 출연해 깊이 있는 연기를 선보인다.
조승혜 작가의 연극 〈그 섬은 아직 그곳에 있다〉는 우주에서 온 미확인 신호의 정체를 밝히려는 유리와 엄마의 행방을 찾는 모래가 ‘가오리 섬’에서 만나 진실을 좇는 이야기다.

11월 15일(토)에는 리딩 형태로 연극 〈소녀지몽〉, 뮤지컬 〈수상한 세탁소〉, 〈에버글로우〉, 〈작전명 174 : LST〉가, 피칭 공연으로는 연극 〈딱 한 걸음〉과 뮤지컬 〈육필원고〉가 무대에 오른다.
박예지 작가의 연극 〈딱 한 걸음〉은 딸의 커밍아웃을 받아들이지 못했던 인물의 변화와 이해를 통해 서로에게 한 걸음 다가서는 과정을 그리며, 최민아 작가의 연극 〈소녀지몽〉은 아이돌을 계기로 관계를 맺은 세 소녀의 성장과 화해를 담은 청춘극으로, 배우 김보정·이아진·한수림이 출연한다.
조이빈 작가와 박효민 작곡가의 뮤지컬 〈수상한 세탁소〉는 수상한 세탁소에 위장 잠입한 탐정이 세탁소 직원들과 얽히며 변해가는 유쾌하고 따뜻한 이야기를 담았다.
남유하 작가와 우성원 작곡가의 뮤지컬 〈육필원고〉는 해방 직후 친구의 유고 시집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나선 병욱의 여정을 따라, 문우회의 우정과 윤동주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세상에 드러나게 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안현우 작가와 김규도 작곡가의 뮤지컬 〈에버글로우〉는 철거를 앞둔 거리를 지키는 가로등지기와 그를 기록하는 다큐멘터리 감독의 이야기를 통해 각자의 상처와 기억을 마주하는 순간을 그리며, 박정현 작가와 박지선 작곡가의 뮤지컬 〈작전명 174 : LST〉는 학도병 772명의 꿈과 희생을 무대 위에 되살린다.

‘데뷔를 대비하라’는 공연 예술계의 새로운 인재를 발굴하고 창작자 중심의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한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대표 창작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다. HJ컬쳐는 뮤지컬 〈라흐마니노프〉, 〈어린왕자〉, 〈더 픽션〉 등 국내외에서 사랑받은 창작 공연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멘토링과 제작 전 과정을 지원하며, 서경대학교 SKU 아트컴퍼니씨어터는 실무 중심의 교육 인프라를 통해 신진 창작자들의 실질적 무대 경험을 돕고 있다.

2025 콘텐츠 창의인재 동반사업 쇼케이스 ‘데뷔를 대비하라’는 11월 14일(금)과 15일(토) CKL스테이지에서 개최되며, 전 공연 무료 관람으로 진행된다. 예매는 YES24를 통해 가능하다.

 

저작권자 © 서울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