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세기에 중세 유럽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동물지(BESTIARIUM)’를 최초로 한국어로 옮긴 책이다. 동물지 문헌들이 가장 활발히 제작되었던 12세기 말부터 13세기 중반까지 잉글랜드에서 만들어진 7개 필사본의 내용을 종합하여, 동물지의 완성된 형태를 구현하였다. 동물지는 중세의 설교ㆍ조각ㆍ속담ㆍ도장ㆍ문장ㆍ우화 등의 수많은 분야에 두루 활용되어, 다양한 연령과 계층의 사람들에게 폭넓게 영향을 끼쳤다. 그래서 중세의 동물 상징이 지니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되며, 중세인의 신앙과 가치관, 풍속과 상식 등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단서가 된다. 나아가 오늘날 다양한 문화 상품을 통해 전 세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서양의 동물 상징을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시각으로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중세 유럽 사회가 동물들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는 다양하게 전해진다. 3세기 무렵에 근동 지역에서 처음 나타났던 《피지올로구스(Physiologus)》를 비롯해 사냥서ㆍ수의학서ㆍ농경서ㆍ승마 교습서ㆍ동물도감ㆍ동물우화집ㆍ매 훈련 서적 등 중세에도 동물을 소재로 한 문헌들은 다양한 형태로 활발히 제작ㆍ유포되었다. 집단을 상징하는 문장(紋章)이나 채색수사본의 여백, 그림ㆍ조각 등에 표현된 동물들도 중세인들이 동물들과 맺고 있던 관계나 저마다의 동물들에 대해 가지고 있던 생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