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구와 금천문화원이 예술단체 입원(入園)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이 문제는 금천지역의 이미 오래전에 시작된 문제로 금천미술협회, 금천문인협회, 금천구사진작가회, 금천예술문화총연합회 등 4개 예술단체가 서울시에서 금천문화원을 준공할 당시 금천문화원에 사무실 사용을 요청하면서 비롯됐다.

금천문화원은 설립 초기 지역원로들이 사단법인을 만들어 십시일반으로 설립요건에 해당되는 1억5,000만원을 몹기로 해 건립됐다.

이 과정에서 30명이 1억5,000만원을 분배해 각각 500만원을 내기로 합의했다가 돈을 내지 않겠다는 인사들은 제외시키고 다시 초대원장이 1,000만원을 내는 등 총 2억원을 모았다.

이후 금천문화원은 기금을 낸 사람들을 이사로 등록해 운영해 오고 있고 5년 전 참여기금액을 300만원으로 낮췄다.

그러나 예술단체 측에서 문화원 입원의 1차 요건에 해당되는 이 기금을 내지 않겠다고 하고 있고, 따라서 지역활동 등에 대한 검증을 받는 2차 심사도 이뤄지지 못했다.

그럼에도 예술단체에서는 지역의 문화예술인으로서 지역의 사업에 대해 의논하고 소통의 기회를 달라는 취지에서 사무공간을 내어 달라는 요구를 해 금천구청에서 개입하게 됐다.

하지만 지역사회에서 금천구청이 갈등을 조정하는 방식에 대해 지나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구청 측이 예산지원을 작년에 이어 올해도 4,000만원을 깎았고 4월14일까지 '건물을 비워달라'는 공문을 보낸 것이다.

금천문화원 박종우 원장은 "문화원과 구청의 계약은 임대계약이 아니라 관리계약"이라며 "구청에서 문화원을 지원한다고 해서 운영을 하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그러면 예술단체도 지원을 하니 예술단체까지 운영하겠다고 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해 지역사회에서는 차성수 구청장이 어린이집에서부터 직능∙사회단체까지 구청장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갈아치운다'는 소문이 퍼져 있어 이번 갈등 역시 차성수 구청장의 '갈아치우기'의 연장선상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금천문화원이 사단법인으로 구청장이 임명권을 갖지 않고, 지원도 구청에서 자의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지원법에 의거해 하는 것인데 금천구청이 지나치게 감놔라 배놔라 하는 것 자체가 주민자치시대를 역행하는 관치행정의 모습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